맨위로가기

주한 미군 사령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한 미군 사령관은 1957년 7월 1일 창설되어, 한반도 방위, 동북아시아 지역 안정 유지, 대테러 작전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주한 미군 사령관은 유엔군 사령관과 한미연합군사령관 직책을 겸임하며, 1992년까지 제8군 사령관 직책도 겸임했다. 초대 사령관은 조지 워커 대장이었으며, 2024년 12월 20일 제이비어 T. 브런슨 육군 대장이 27대 사령관으로 취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한 미군 사령관 - 가이 S. 멜로이 주니어
    가이 S. 멜로이 주니어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주한미군 사령관, 유엔군 사령관, 제8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 대장으로 은퇴 후 테렐 힐스 시장을 지낸 미국의 군인이다.
  • 주한 미군 사령관 - 존 R. 하지
    존 R. 하지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군인으로, 1945년 인천에 상륙하여 일본 총독부의 항복을 받고 주한 미군 사령관과 미군정청 사령관을 겸임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까지 남한을 통치했으며, 1952년 대장으로 진급하여 1963년 사망했다.
  • 주한 미군 -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은 북한 핵·미사일 위협,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 중국 부상 등 복합적 요인으로 촉발되어 사드 1개 포대의 성주 배치로 이어진 정치·외교·안보적 갈등을 의미하며, 배치 완료 후에도 안보, 외교, 경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쟁과 과제를 남기고 있다.
  • 주한 미군 - 한미상호방위조약
    한미상호방위조약은 한국 전쟁 휴전 직후 대한민국과 미국이 체결한 군사 동맹 조약으로, 주한미군 주둔을 통해 한국의 안보, 정치, 경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주한미군과 작전통제권 관련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주한 미군 사령관
주한 미군 사령관
문장
문장
현직제이비어 T. 브런슨
관저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
취임일2024년 12월 20일
임기2~3년
초대조지 데커
성립1957년 7월 1일
웹사이트Biography

2. 역사

1957년 7월 1일, 극동사령부태평양 사령부로 병합되고 각 주요 지역별로 나누어 관리할 필요성이 생기면서, 조지 워커 대장을 초대 사령관으로 한 주한 미군이 설립되었다. 초기의 주한 미군 사령관은 제8군 사령관과 유엔사령부 사령관 직책을 겸임하였다.

2. 1. 주한 미군 창설 (1957년)

1957년 7월 1일, 극동사령부태평양 사령부로 병합되고 각 주요 지역별로 나누어 관리할 필요성이 생기면서, 조지 워커 대장을 초대 사령관으로 한 주한 미군이 설립되었다.

초기 주한 미군 사령관은 제8군 사령관과 유엔사령부 사령관 직책을 겸임하였다.

2. 2. 한미연합군사령부 창설 (1978년)

1957년 7월 1일, 극동사령부태평양 사령부로 병합되고 각 주요 지역별로 나누어 관리할 필요성이 생기면서, 조지 워커 대장을 초대 사령관으로 한 주한 미군이 설립되었다. 초기의 주한 미군 사령관은 제8군과 유엔사령부 3부서의 직책을 수행하였다.

3. 지위 및 역할

조지 워커 대장을 초대 사령관으로 한 주한 미군은 1957년 7월 1일 창설되었다. 초기 주한 미군 사령관은 제8군과 유엔사령부의 3가지 부서의 직책을 수행했다. 1978년 11월 7일 한미연합군사령부가 창설되면서 주한 미군 사령관은 한미연합군사령관 직책을 겸임하게 되었다.

주한 미군 사령관은 다음 세 가지 직책을 겸임한다.


  • 주한 미군 사령관(Commander, United States Forces Korea|커맨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포시즈 코리아영어): 1957년 7월 1일 신설
  • 유엔군 사령관(Commander, United Nation Command|커맨더, 유나이티드 네이션 커맨드영어): 1950년 7월 24일 신설
  • 한미연합군사령관(Commander,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커맨더, 알오케이/유에스 콤바인드 포시즈 커맨드영어): 1978년 11월 7일 신설


주한 미군은 한반도 방위, 동북아시아 지역 안정 유지, 대테러 작전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더불어민주당은 굳건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원만하게 추진하고, 주한미군과의 연합 방위 태세를 굳건히 유지하는 것을 지지한다.

4. 역대 사령관

주한 미군 사령관은 대부분 육군 대장이 임명된다. 역대 사령관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역대 주한 미군 사령관
#사진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비고
1대
육군 중장존 R. 하지1945년 9월 2일1948년 8월 25일제1대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청장
2대
육군 소장존 B. 콜터1948년 8월 25일1949년 6월 30일제2대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청장, 이후 폐지
3대
육군 대장조지 H. 데커George H. Decker영어1957년 7월 1일1959년 6월 30일제6대 유엔군 사령관 겸 제8군 사령관
4대
육군 대장카터 B. 매그루더Carter B. Magruder영어1959년 7월 1일1961년 6월 30일제7대 유엔군 사령관 겸 제9대 제8군 사령관
5대
육군 대장가이 S. 멜로이 주니어Guy S. Meloy Jr.영어1961년 7월 1일1963년 7월 31일제8대 유엔군 사령관 겸 제9대 제8군 사령관
6대
육군 대장헤밀턴 H. 호제Hamilton H. Howze영어1963년 8월 1일1965년 6월 15일제9대 유엔군 사령관 겸 제10대 제8군 사령관
7대
육군 대장드와이트 E. 비치Dwight E. Beach영어1965년 6월 16일1966년 6월 31일제10대 유엔군 사령관 겸 제11대 제8군 사령관
8대
육군 대장찰스 H. 보네스틸 3세Charles H. Bonesteel영어1966년 9월 1일1969년 9월 30일제11대 유엔군 사령관 겸 제12대 제8군 사령관
9대
육군 대장존 H. 마이켈리스John H. Michaelis영어1969년 10월 1일1972년 8월 31일제12대 유엔군 사령관 겸 제13대 제8군 사령관
10대
육군 대장도널드 V. 베너트Donald V. Bennett영어1972년 9월 1일1973년 7월 31일제13대 유엔군 사령관 겸 제14대 제8군 사령관
11대
육군 대장리처드 G. 스틸웰Richard G. Stilwell영어1973년 8월 1일1976년 10월 8일제14대 유엔군 사령관 겸 제15대 제8군 사령관
12대
육군 대장존 W. 베시 Jr.John W. Vessey Jr.영어1976년 10월 8일1979년 7월 10일제15대 유엔군 사령관, 1978년 11월 7일까지 제16대 제8군 사령관, 이후 초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임
13대
육군 대장존 A. 위컴 주니어John A. Wickham Jr.영어1979년 7월 10일1982년 6월 4일제2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16대 유엔군 사령관 겸 제18대 제8군 사령관
14대
육군 대장로버트 W. 시니월드Robert W. Sennewald영어1982년 6월 4일1984년 6월 1일제3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17대 유엔군 사령관 겸 제19대 제8군 사령관
15대
육군 대장윌리엄 J. 리브시William J Livsey영어1984년 6월 1일1987년 6월 25일제4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18대 유엔군 사령관 겸 제20대 제8군 사령관
16대
육군 대장루이스 C. 메네트리Louis C. Menetrey영어1987년 6월 25일1990년 6월 26일제5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19대 유엔군 사령관 겸 제21대 제8군 사령관
17대
육군 대장로버트 W. 리스카시Robert RisCassi영어1990년 6월 26일1993년 6월 15일제6·7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20대 유엔군 사령관, 1992년 12월 1일까지 제22대 제8군 사령관
18대
육군 대장게리 E. 럭Gary E. Luck영어1993년 6월 15일1996년 7월 9일제8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21대 유엔군 사령관
19대
육군 대장존 H. 틸레일, Jr.John H Tilelli영어1996년 7월 9일1999년 12월 9일제9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22대 유엔군 사령관
20대
육군 대장토머스 A. 슈워츠Thomas A. Schwartz영어1999년 12월 9일2002년 5월 1일제10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23대 유엔군 사령관
21대
육군 대장리언 J. 러포트Leon J. LaPorte영어2002년 5월 1일2006년 2월 3일제11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24대 유엔군 사령관
22대
육군 대장버웰 B. 벨 3세Burwell B.영어2006년 2월 3일2008년 6월 3일제12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25대 유엔군 사령관
23대
육군 대장월터 L. 샤프Walter L Sharp영어2008년 6월 3일2011년 7월 14일제13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26대 유엔군 사령관
24대
육군 대장제임스 D. 서먼James D. Thurman영어2011년 7월 14일2013년 10월 2일제14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27대 유엔군 사령관
25대
육군 대장커티스 스캐퍼로티Curtis Scaparrotti영어2013년 10월 3일2016년 4월 30일제15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28대 유엔군 사령관
26대
육군 대장빈센트 K. 브룩스Vincent K. Brooks영어2016년 4월 30일2018년 11월 8일제16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29대 유엔군 사령관
27대
육군 대장로버트 B. 에이브럼스Robert B. Abrams영어2018년 11월 8일2021년 7월 2일제17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30대 유엔군 사령관
28대
육군 대장폴 러캐머라Paul LaCamera영어2021년 7월 2일2024년 12월 20일제18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31대 유엔군 사령관
29대
육군 대장제이비어 T. 브런슨Xavier T. Brunson영어2024년 12월 20일제19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제32대 유엔군 사령관


4. 1. 군정기 사령관

Commander-in-Chief, United States Forces in Korea (UNFIK)영어
#사진계급성명취임일이임일비고
초대육군 중장존 R. 하지1945년 9월 2일1948년 8월 25일제1대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청장
2대육군 소장존 B. 콜터1948년 8월 25일1949년 6월 30일제2대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청장, 이후 폐지


4. 2. 주한 미군 사령관 (1957년 ~ 현재)

8대 제8군 사령관2대육군 대장카터 B. 매그루더Carter B. Magruder영어1959년 7월 1일1961년 6월 30일7대 유엔군 사령관
9대 제8군 사령관3대육군 대장가이 S. 멜로이 주니어Guy S. Meloy Jr.영어1961년 7월 1일1963년 7월 31일8대 유엔군 사령관
9대 제8군 사령관4대육군 대장헤밀턴 H. 호제Hamilton H. Howze영어1963년 8월 1일1965년 6월 15일9대 유엔군 사령관
10대 제8군 사령관5대육군 대장드와이트 E. 비치Dwight E. Beach영어1965년 6월 16일1966년 6월 31일10대 유엔군 사령관
11대 제8군 사령관6대육군 대장찰스 H. 보네스틸 3세Charles H. Bonesteel영어1966년 9월 1일1969년 9월 30일11대 유엔군 사령관
12대 제8군 사령관7대육군 대장존 H. 마이켈리스John H. Michaelis영어1969년 10월 1일1972년 8월 31일12대 유엔군 사령관
13대 제8군 사령관8대육군 대장도널드 V. 베너트Donald V. Bennett영어1972년 9월 1일1973년 7월 31일13대 유엔군 사령관
14대 제8군 사령관9대육군 대장리처드 G. 스틸웰Richard G. Stilwell영어1973년 8월 1일1976년 10월 8일14대 유엔군 사령관
15대 제8군 사령관10대육군 대장존 W. 베시 Jr.John W. Vessey Jr.영어1976년 10월 8일1979년 7월 10일15대 유엔군 사령관, 1978년 11월 7일까지 제16대 제8군 사령관, 이후 초대 한미연합군사령관 겸임11대육군 대장존 A. 위컴 주니어John A. Wickham Jr.영어1979년 7월 10일1982년 6월 4일2대 한미연합군사령관
16대 유엔군 사령관
18대 제8군 사령관12대육군 대장로버트 W. 시니월드Robert W. Sennewald영어1982년 6월 4일1984년 6월 1일3대 한미연합군사령관
17대 유엔군 사령관
19대 제8군 사령관13대육군 대장윌리엄 J. 리브시William J Livsey영어1984년 6월 1일1987년 6월 25일4대 한미연합군사령관
18대 유엔군 사령관
20대 제8군 사령관14대육군 대장루이스 C. 메네트리Louis C. Menetrey영어1987년 6월 25일1990년 6월 26일5대 한미연합군사령관
19대 유엔군 사령관
21대 제8군 사령관15대육군 대장로버트 W. 리스카시Robert RisCassi영어1990년 6월 26일1993년 6월 15일6·7대 한미연합군사령관
20대 유엔군 사령관, 1992년 12월 1일까지 22대 제8군 사령관16대육군 대장게리 E. 럭Gary E. Luck영어1993년 6월 15일1996년 7월 9일8대 한미연합군사령관
21대 유엔군 사령관17대육군 대장존 H. 틸레일, Jr.John H Tilelli영어1996년 7월 9일1999년 12월 9일9대 한미연합군사령관
22대 유엔군 사령관18대육군 대장토머스 A. 슈워츠Thomas A. Schwartz영어1999년 12월 9일2002년 5월 1일10대 한미연합군사령관
23대 유엔군 사령관19대육군 대장리언 J. 러포트Leon J. LaPorte영어2002년 5월 1일2006년 2월 3일11대 한미연합군사령관
24대 유엔군 사령관20대육군 대장버웰 B. 벨 3세Burwell B.영어2006년 2월 3일2008년 6월 3일12대 한미연합군사령관
25대 유엔군 사령관21대육군 대장월터 L. 샤프Walter L Sharp영어2008년 6월 3일2011년 7월 14일13대 한미연합군사령관
26대 유엔군 사령관22대육군 대장제임스 D. 서먼James D. Thurman영어2011년 7월 14일2013년 10월 2일14대 한미연합군사령관
27대 유엔군 사령관23대육군 대장커티스 스캐퍼로티Curtis Scaparrotti영어2013년 10월 3일2016년 4월 30일15대 한미연합군사령관
28대 유엔군 사령관24대육군 대장빈센트 K. 브룩스Vincent K. Brooks영어2016년 4월 30일2018년 11월 8일16대 한미연합군사령관
29대 유엔군 사령관25대육군 대장로버트 B. 에이브럼스Robert B. Abrams영어2018년 11월 8일2021년 7월 2일17대 한미연합군사령관
30대 유엔군 사령관26대육군 대장폴 러캐머라Paul LaCamera영어2021년 7월 2일2024년 12월 20일18대 한미연합군사령관
31대 유엔군 사령관27대육군 대장제이비어 T. 브런슨Xavier T. Brunson영어2024년 12월 20일19대 한미연합군사령관
32대 유엔군 사령관


5.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